728x90
반응형

서론
갈라파고스라는 단어를 사용하다 문득 내가 이 단어에 대해 애매하게 알고 있다는 점을 깨달았다. 고립된 상황에서 쓴다는 것은 인식하고 있었는데 더 세세하게 설명해보라고 하면 할 말이 없다는 점을 깨달아서 알아보았다.
1.어원
- 남태평양의 갈라파고스 제도가 육지로부터 고립 되어 고유한 생태계가 만들어진 것에 빗대는 말이다.(갈라파고스제도는 다윈이 독립적인 진화경향을 연구 했던 곳)
- 갈라파고스 증후군은 기술이나 서비스가 국제 표준과는 동떨어진 채 독자적으로 발전하여 세계 시장에서 고립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용어는 일본에서 처음 사용되어 잘라파고스 혹은 잴라파고스(japan+galapagos=jalapagos)라고도 말한다.
- 근래에는 일본에서만 사용하는게 아닌 여러 사례에 빗대서 사용되고 있다.
2. 발생원인과 특징
- 환경적 요인 : 극단적으로 덥거나 추운 환경일 경우 기술도 이에 맞춰 발전해야 사용이 가능할 것이므로 기술 분화가 되면서 발생. 그러나 근래에는 기술적한계가 적어 큰요인은 아니다.
- 기술적 고립/경제적 요인 : 특정 국가나 지역에서만 통용되는 기술이나 제품이 세계 시장에서는 경쟁력을 잃는 경우가 있다. 말하자면 내수시장에 만족하는 것. 예를 들어, 일본의 피처폰 기술은 일본 내에서는 성공적이었지만, 스마트폰의 세계적 흐름에 적응하지 못해 도태된 사례로 자주 언급되곤 한다. 이외에도 쇄국정책이나, 경제적 역량이 부족해 구식기술을 선택하거나 외교문제로 인접 국가와의 경제공동체 형성이 불가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이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게 만들고, 결국 내수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겠다.
- 문화적 요인 : 위에서도 언급 된 쇄국 정책, 혹은 세계주류와 이질적인 문화나 언어를 가진 국가들, 예를들어 한중일의 경우를 들수 있다. 워드프로세서 같은 경우 한자나 한글이 바이트 수를 많이 잡아먹어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했다. 그 외에는 초강대국인 경우가 있겠다. 이 경우에는 대표적으로 미국을 들 수 있겠다. 다른 나라에 맞출 이유가 없기에 그대로 사용하는 것.(열받는 야드 파운드법)
3. 참고자료
갈라파고스화
일본어 : ガラパゴス化 영어 : Galápagos syndrome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기술
namu.wiki
갈라파고스화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현재 이 문서는 주로 동아시아, 러시아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다른 국가·지역에 대한 내용을 보충하여 문서의 균형을 맞추어 주세요. 내용에 대
ko.wikipedia.org
+ 논문은 따로 찾지 못해 위키피디아와 나무위키를 주로 참고 했음. 혹시 아시는 분 댓글 부탁드립니다~
728x90
반응형
'TMI'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I]아판타시아 증후군 (0) | 2025.02.12 |
---|---|
[TMI]금은 사실 지구에서 존재 할 수 없는 물질? (2) | 2025.02.08 |
[TMI]경구수액과 이온음료의 차이 (0) | 2025.01.15 |
[TMI] 술 마시면 얼굴이 빨개지는 이유 (3) | 2025.01.01 |
[TMI] MBTI에 관해서 (3)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