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뉴스기사를 보던 중에 사카린이 항균제 내성균에 효과가 든다는 기사가 눈에 들어와서 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사실 사카린은 어릴때부터 어머니가 몸에 안좋은거다~ 하고 이야기를 했어서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었다. 하지만 오늘 알아보니 여러모로 유용한 물질이라는 걸 알게 되었다.
사카린의 특징과 효능
- 사카린은 톨루엔을 원료로 하여 만든 인공 감미료의 일종
- 강력한 단맛 : 설탕의 약 300~500배의 단맛을 내는 무색 또는 백색의 결정체 또는 결정성 분말 형태.
- 제로 칼로리 : 칼로리가 거의 없고(체내에서 대사 되지 않음) 몸에 흡수되지 않고 배출되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나 다이어트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한 감미료로 사용된다.
- 높은 안정성 : 열과 산성조건에서도 안정성이 높아 다양한 조리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고, 부패나 변질이 잘 되지 않아 보관 기간이 길다.
- 저렴한 가격 : 설탕에 비해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사카린의 부작용
- 과다 섭취시 장내 박테리아 불균형 : 인공감미료가 장내 박테리아 총에 영향을 미쳐 유익균을 줄이고 소화장애를 유발 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 알레르기 반응: 설파제에 과민한 사람에게 일어 날 수 있다. 피부자극과 두통, 설사 호흡 곤란 등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사카린의 역사
- 사카린의 개발 : 사카린은 1879년 독일의 화학자 콘스탄틴 팔베르크(Constantin Fahlberg)와 아이라 램슨(Ira Remsen)에 의해 우연히 발견되었다. 팔베르크가 콜타르 유도체를 연구하던 중 손에 묻은 화학 물질에서 단맛을 느낀 것이 발견의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 발암물질 의혹 : 1977년 캐나다에서 쥐를 대상으로 한 사카린 실험 결과 방광암에 걸린 쥐가 나왔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사카린의 무해함을 밝히기 위해 꾸준히 연구를 진행했다. 이들의 노력으로 사카린에 대한 동물실험 조건은 지나치게 고농도(일일 섭취 허용량의 500배)로 투여한 비현실적인 조건이었으며, 이는 사람으로 쳤을 때 사카린이 함유된 다이어트 음료 800캔을 매일 마신셈이다.
- 안전 확인 : 결국 1993년 세계보건기구(WHO)는 사카린은 인체에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했고, 1998년 국제암연구소(IARC)는 사카린을 발암 물질 항목에서 제외시켰다. 이후 2001년 미국 FDA도 사카린의 안전성을 선언하고 규제를 풀었다. 또한 2010년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사카린을 유해 물질 항목에서 제외시켰고 2011년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월스트리트지 기고문을 통하여 사카린의 안전성을 역설하기도 했다.
- 항암효과 연구 : 오히려 항암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 까지 보고 되기도 했다. 2015년 3월 제249차 미국화학학회에서 플로리다 의과대학의 로버트 매케너 교수 외 6인은 사카린이 암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9번 탄산탈수효소(Carbonic anhydrase Ⅸ)와 결합해 이 효소를 비활성화시켜 항암 효과를 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에서도 사카린의 항암 효과에 관한 연구가 발표됐다. 2016년 9월 고려대학교 의생명융합과학과 연구팀도 암세포에 사카린 용액을 투여한 결과 암세포 수가 감소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사카린의 농도를 높여갈수록 암세포 수가 더욱 두드러지게 감소했다. 두 연구에서 공통으로 사카린은 정상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것도 확인됐다.
- 항균제 내성 제거 효과 : 최근에는 항균제 내성 제거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까지 나오고 있다. 23년도에 국내에서도 관련 연구 논문이 있었고 최근에는 큰 이슈가 되며 여러 뉴스기사가 나오고 있는 상태.
결론
사카린은 그간 여러 안정성 논란이 있었으나 재미있게도 항암효과 & 항생제 내성균 문제를 해결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는 결과가 나왔다. 물론 부작용 또한 존재하지만, 그럼에도 섭취에 있어서 하루 적정량(1kg당 5mg)을 지킨다면 건강에 문제가 있을 확률은 없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참고자료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control_no=982fb0181f31976bffe0bdc3ef48d419&p_mat_type=be54d9b8bc7cdb09
www.riss.kr
https://www.riss.kr/search/detail/DetailView.do?control_no=f34de76f26d2bebaffe0bdc3ef48d419&outLink=K&p_mat_type=be54d9b8bc7cdb09
www.riss.kr
사카린
파일:D.shintyakov.saccharin.1.jpg 사카린의 결정 사카린나트륨 이라고도 불리는 사카린은 19
namu.wiki
사카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카린[1] 이름 IUPAC 이름 1,1-dioxo-1,2-benzothiazol-3-one [2] 별칭 식별자 ChEBI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01.202 E 번호 E954 (광택제, ...) KEGG UNII InChI=1/C7H5NO3S/c9-7-5-3-1-2-4-6
ko.wikipedia.org
인공감미료 '사카린'의 대반전?…'항생제 내성' 없앤다 - 코메디닷컴
인공감미료 '사카린'의 대반전?…'항생제 내성' 없앤다 - 코메디닷컴
사카린이 최근 지구촌의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로 떠오른 '항생제 내성'을 없앨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브루넬대 연구팀은 인공감미료 사카린 성분이 약물 내성 박테리아를
kormedi.com
한때 ‘발암 논란’ 일었는데…“설탕보다 300배 단 ‘이것’, 항균 효과 있다” | 세계일보
한때 ‘발암 논란’ 일었는데…“설탕보다 300배 단 ‘이것’, 항균 효과 있다”
설탕보다 최대 300배 강한 단맛을 내면서도 체내 흡수가 거의 없어 당뇨병이나 비만 환자에게 유용한 인공감미료 사카린이, 이번엔 항생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유해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
www.segye.com
사카린, 암 유발 물질 항목에서 제외 결정 | 뉴스 > Bio뉴스 > 동향 | BRIC
사카린, 암 유발 물질 항목에서 제외 결정 | 뉴스 > Bio뉴스 > 동향 | BRIC
2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수행된 각종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인공 감미제인 사카린(saccharin)이 인체에 암을 유발시키는 ...
www.ibric.org
달콤하게 먹고 '0㎈'… 사카린, 발암물질 누명 벗어
달콤하게 먹고 0㎈ 사카린, 발암물질 누명 벗어 사카린의 오해와 진실 美 FDA, 사카린의 안전성 선언 단맛, 설탕의 300배 고감미료
www.chosun.com
사카린의 대반전, 항생제 내성 없애는 사카린?! / 항생제 내성 감염 약물 개발 가능성 / 항생제 내성 극복의 새로운 가능성
사카린의 대반전, 항생제 내성 없애는 사카린?! / 항생제 내성 감염 약물 개발 가능성 / 항생제 내
사카린은? 사카린은 1878년 콘스탄틴 팔베르크와 아이라 렘센에 의해 우연히 발견된 인공 감미료입니다. 석탄 타르의 부산물에서 유래한 사카린은 설탕보다 약 300~700배 더 강한 단맛을 내지만,
naver-knowledgein.tistory.com
인체 포도당 내성에 대한 비영양 감미료의 개인화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효과: 세포
'TMI' 카테고리의 다른 글
[TMI] 지구 자전으로 전력 생산하기? (0) | 2025.05.10 |
---|---|
[TMI]호주의 동물, 곤충들이 유독 거대한 이유가 뭘까? (0) | 2025.05.06 |
[TMI]갈라파고스 증후군 (0) | 2025.04.03 |
[TMI]아판타시아 증후군 (0) | 2025.02.12 |
[TMI]금은 사실 지구에서 존재 할 수 없는 물질? (2) | 2025.02.08 |